언제나 가장 가까운 곳에서 고객과 함께 걸어가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상 두께 6mm이상의 두꺼운 강판을 의미합니다. 주요 요구 특성은 화학성분, 재질, 치수, 형상, 표면, 내부품질 등입니다. 용도에 따라 용접성 및 가공성 등이 추가됩니다.
한국선급협회를 비롯하여 각국 선급협회에서 규정하고 있는 선체구조용 강판은 강도에 따라 40~60kgf/㎟까지 적용되고 있으며 각 선급협회로부터 제조법 승인을 획득하여 선급 일반강 및 고장력강을 생산하고 있습니다.최근 선박 수요는 소형 Tanker, Bulk Carrier, Container Carrier, LPG, LNG 운반선 등 특수선이 요구되며, 선박의 경량화에 따른 고강도화, 저온인성, 대입열 용접특성이 우수한 강판의 요구 등 품질의 고급화 및 다양화 추세입니다.
일반 용접구조물, 교량, 산업기계, 건축, 해양구조물 등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강판으로 강도 Level 도 30~100kgf/㎟로 매우 다양하며 통상 60kgf/㎟급 이상의 고장력강은 Q.T법으로 생산됩니다. Lamellar Tear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물에는 Sulfur저감 및 개재물 형상제어로 Z방향 인성을 향상시킨 내 Lamellar Tear강(일명 Z-Plate)이 사용되며, 극저온용 해양구조물의 경우 우수한 저온인성이 요구됩니다.
에너지산업의 발달과 함께 사용분야가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주로 Gas Holder(Ball Tank), LPG Tank, 원유 및 각종 액화물 저장탱크, 원유정제 및 화력발전보일러 등에 사용됩니다. 설비의 대형화, 복잡화, 사용조건 가혹화에 따라 크게 상온, 고온, 저온용으로 구분됩니다.
원유 또는 천연Gas의 대량수송을 위한 Line Pipe의 대구경, 후육화에 따라 고장력화가 요구되며 자원의 고갈에 따른 사용환경의 한냉화에 의해 극저온인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추세입니다.이규격의 특징은 Pipe내압에 의한 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폭방향 인성이 중요시됩니다. 특히 유화수소(H2S)가 많이 함유된 Sour Gas수송용 강관에는 내 HIC(Hydrogen Induced Cracking)성 보증이 요구됩니다.
구조용강판에 Cr, Cu, Ni 등의 원소를 첨가하여 내후, 내식성을 부여한 것으로 고객사 용도에 따라 도장 사용재와 무도장 사용재로 구분됩니다.